학교정보
학교정보
 연구 및 활동 학교정보
대학뉴스 게시글 확인
제목 MSDE학과 안지환 교수팀/기계·자동차공학과 옥종걸 교수팀, 응용 소재 분야 최우수 저널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에 표지 논문 게재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398 날짜 2023-01-17
첨부파일

MSDE학과 안지환 교수팀과 기계자동차학과 옥종걸 교수팀(제1저자 이재형,고도현 연구원/공동저자 이우승,이승현,김근회,신정우,김혜인 연구원)이 최신 반도체 공정인 원자층 증착 공정 및 나노 패턴 제작 공정을 활용해 고성능의 3차원 유연 커패시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였다.

 

 

 


<(좌로부터) 안지환 교수, 옥종걸 교수, 이재형, 고도현 연구원>

 

 

 

유연 커패시터를 포함한 고성능의 유연 전자소자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wearable/rollable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으로써 전자기기의 고도화에 발맞추어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안지환/옥종걸 교수 공동 연구팀은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 (Plasma-enhanced atomic deposition, PEALD)의 플라즈마 에너지를 조절하여 결정질의 이산화 타이타늄 (Titanium dioxide, TiO2) 박막(~20 nm)을 저온에서(<100℃) 성공적으로 증착하였다.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은 최신 반도체 공정 중의 하나로 얇은 막을 원자층 단위로 정밀하게 증착할 수 있고, 복잡한 형상 위에서도 일정한 두께의 박막을 고품위로 증착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Dynamic nano-inscribing (DNI) 방식으로 정밀 제작된 3차원 나노 구조의 유연 기판 위에 PEALD 증착법을 적용하여 고성능의 유연 커패시터를 제작, 하부 유연 기판의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높은 축전 성능(24.2 nF/mm2)과 굽힘(10 mm, 108회) 및 고온 구동(100℃ 이내) 안정성을 달성하였다. 이는 원자층 증착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유연 커패시터 성능 중 가장 높은 성능이다. 본 연구 결과로 높은 성능의 전자소재를 저온에서 직접 증착하고 유연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음이 다시 한번 증명되었고, 이를 통해 유연 전자소자의 고성능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개발 결과는 미국 출판사 와일리(Wiley)에서 발간하는 응용 소재 분야 최우수 저널인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의 2023년 1월호 표지 논문(front cover article)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과기정통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기술개발사업 및 교육부의 대학중점연구소사업(에너지환경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한 이재형, 고도현 연구원은 현재 각각 서울대학교,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UCSD)에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논문 출처: “High-Performance Nanostructured Flexible Capacitor by Plasma-Induced Low-Temperature Atomic Annealing”,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admt.202201134))


 

 

 

 

< 관련 그림 >

목록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테크노큐브동 2층 TEL : 02-970-9082~92 FAX : 02-979-9117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컴퓨터공학과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기초교육학부어학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공학부(융합기계공학전공)융합공학부(건설환경융합전공)융합사회학부(헬스피트니스전공)융합사회학부(문화예술전공)융합사회학부(영어전공)융합사회학부(벤처경영전공)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융합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