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정보
학교정보
 연구 및 활동 학교정보
대학뉴스 게시글 확인
제목 [인터뷰] ‘제6회 대학생 금속학습그룹 최종보고회’ 최우수상 - 신소재공학과 신희창(17)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5052 날짜 2023-01-20
첨부파일

지난 2022년 12월 1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제6회 대학생 금속학습그룹' 성과발표회에서 서울과기대 신소재공학과 재료강도연구실 학생들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 대회는 기업 현업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철강 분야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취업 역량을 쌓을 수 있는 대회다.

2017년 7개 대학 24명의 학생이 참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2021년 11개 대학 65명, 2022년 12개 대학 85명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학교와 학생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

12개 대학, 12개 팀이 참석해 약 4개월에 걸쳐 각각의 과제를 수행했고, 그 중에서 'Cr-Mo계 저합금강의 수소취성에 미치는 템퍼링 온도의 영향'에 대해 연구한 서울과기대 팀(지도교수: 황병철, 멘토기업: 포스코)이 최우수로 선정됐다.

 

신소재공학과 재료강도연구연구실의 신희창 학생을 만나 소감을 들어보았다.

 

 

 


Q. 우선 제6회 대학생 금속학습그룹 최종보고회에서 수상하신 걸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수상하신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가 있어서 더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Q. 제출하신 연구가 어떤 연구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요즘 친환경 에너지로 수소 연료를 사용한 수소 에너지가 주요 관심사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이 수소가 금속 소재에 들어가게 되면 이 금속의 물성을 약화시키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걸 수소 취성이라고 합니다. 저희는 이 금속 강재에서 수소 취성이 발생하는 정도를 실험했는데요. 쉽게 설명하자면 통제된 상황에서 변수를 줘서 조건이 변하는 것에 따라 수소 취성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Q.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일 어려웠던 점이나 신경 썼던 점이 있으셨나요?

 

먼저 가장 신경을 썼던 점은 발표 자료를 작성하는 거였는데, PPT를 만들면서 발표 내용을 가시적으로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하고 수정도 많이 거쳤습니다. 또,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많은 사람 앞에서 구두 발표를 진행해야 하는데 성격이 외향적인 편이 아니다 보니 그 점이 어려웠습니다.

 

 

 

 


Q. 학교에서 배운 것 중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이 어떤 것일까요?

 

제가 4학년 때 연구실에 들어왔는데, 이 연구실에 들어와서 실험을 하거나 자료 제작을 하거나 했던 활동들이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큰 도움이 됐습니다.

 

 

 

 


Q. 향후 활동 계획이나 더 연구하고 싶은 분야가 있으신가요?

 

저는 지금 학부 연구생으로 소속하고 있는 재료강도연구실에서 석사 과정에 진학할 예정인데, 이번에 발표했던 주제인 수소 취성에 관해 더 공부하고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Q. 지도 교수님께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이번 발표에서도 함께 도와주셨는데 발표 자료를 수정하는 방향이나, 발표에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지 함께 생각하고 도움을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Q. 본인이 속한 연구실의 장점이나 자랑할 만한 점이 있으신가요?

 

저희 재료강도연구실은 자유로운 분위기가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서로 모르는 게 있다면 편하게 물어보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또, 저희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주제가 신소재공학과 학부 과정에서 배우는 주제와 연관된 부분이 많아 수업을 듣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됩니다.

 

 

 

 

 

 

 

 


Q. 정말 큰 장점이네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심화 공부까지 할 수 있군요. 마지막으로, 같은 길을 걷는 후배분들이나, 자신의 꿈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서울과기대 학우분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신소재공학과나 공대 후배분들께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건, 학부 과정 중에 연구실에 들어가는 걸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 3학년까지는 전공과목 공부를 해도 크게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헤매기도 했는데 연구실에 들어오고 나서 제가 가고 싶은 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꼭 대학원생이 되지 않더라도 한 번 정도는 연구실에 들어와 보는 걸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목록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테크노큐브동 3층 305호 연구처
TEL : 02-970-9082~92 FAX : 02-979-9117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국방융합과학대학원SeoulTech-KIRAMS의과학대학원